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타슈켄트5

[18년 2월 우즈베키스탄 여행] 합승 택시로 타슈켄트에서 사마르칸트 가기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의 현 수도. 사마르칸트 - 타슈켄트에서 서남쪽으로 약 300km 떨어진 도시. - 1991년부터 2016년까지 우즈베키스탄을 철권통치한 제1대 대통령 ‘이슬람 카리모프(Karimov, Islam A.)’의 고향. - 중앙아시아의 위대한 정복자 ‘아미르 티무르(1336~1405)’가 건설한 ‘티무르 제국’의 수도였음(14~16세기). 그 시절에 건립된 각종 화려한 건축물들이 잘 보존, 복원되어 있어 볼거리가 아주 풍부함. - 중국의 장안에서 로마의 콘스탄티노플에 이르는 동서 간 거대 교역로 실크로드의 지리적 중심지였음. - 2001년, ‘세계 문화의 교차로이자 용광로(a crossroad and melting pot of the world's cultures)’라는 평가를 받으며,.. 2021. 4. 8.
타슈켄트#06 우리 숙소 조식, 수제 버거 맛집 ‘GOSHT’ 등등 [18년 2월 우즈베키스탄 여행] [2018년 2월 21일 수요일] 눈 감았다 뜨니 아침인 그런 꿀잠이 얼마만이었는지...ㅋㅋ 전날에 하루 종일 타슈켄트 시내를 열심히 돌아다니고, 픽 쓰러져서 엄청 깊은 잠을 잤다. 오늘은 타슈켄트에서 사마르칸트로! 이동하는 날이다. 이틀 밤을 잘 묵은 숙소도 떠난다. 커튼 치는 저 침대는 정말 아늑하고 좋았다. 내가 묵은 숙소 'Sunrise Caravan Stay - Boutique Guest House'는 오전 7시부터 10시 사이에 식당으로 가면 조식이 나왔다. 식당은 그냥 1층도 괜찮았지만, 계단 올라가면 2층에 또 이렇게 폭신폭신한 공간도 있었다...ㅎㅎㅎ 맛있게 밥 먹으면서 여유 부리기. 우리 숙소 조식. 여기서 진짜 맛있었던 건 직접 만든 듯한 딸기잼이랑 요거트였다. 특히 달짝지근한 요거트.. 2021. 4. 7.
타슈켄트#05 쿠켈다쉬 마드라사, 철수 시장, 간식 구입, 저녁 식사 등등 [18년 2월 우즈베키스탄 여행] 카스트 이맘 광장을 다 둘러보고, 아래쪽의 철수 시장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택시를 타지 않고 작은 골목길을 걸어 내려갔다. 주택가라 그런지, 하교 시간이라 그런지, 어린이랑 학생들이 참 많았다. 그리고 축구하는 친구들도 많았다. 이 한 팀뿐만이 아니었음ㅋㅋ 골목에서 공터에서 남자 아이들이 공을 차는 모습은 여행 내내 아주 흔한 풍경이었다. 철수 시장 가까이의 쿠켈다쉬 마드라사.(Kukeldash Madrasah, Kokaldosh Madrasasi…)(부하라의 라비 하우즈에 있는 유명한 마드라사와 이름이 같다.) 원래는 16세기 건물이었고, 소련 붕괴 이후 복원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이슬람 신학교로 쓰이고 있는 모습이 신기했다. 내가 간 시간에도 수업이 진행 중인 듯 안쪽에는 들어가면 안 된다고 했다. .. 2021. 4. 6.
타슈켄트#04 카스트 이맘 광장(카스트 이맘 모스크, 무이 무보락 마드라사, 바라크한 마드라사, 카팔 샤시 묘) [18년 2월 우즈베키스탄 여행] 1924년, 소련 지도부에 의해 중앙아시아 지역에 인위적인 국경선이 그어졌다. '카자흐, 키르기스, 타지크, 투르크메니, 우즈베크'라는 이름들은 이때부터 자리를 잡아가게 되었다. 1925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초의 정부는 사마르칸트에 세워졌다. 1930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가 사마르칸트에서 타슈켄트로 변경되었다. 일찍부터 러시아인들이 많았던 타슈켄트는 근대적인 도시로 발전해 왔다. 사마르칸트나 부하라 같은 역사 도시들의 정체성이 워낙에 뚜렷하다보니, 상대적으로 타슈켄트는 사적 관광지로서의 매력은 조금 떨어진다고 평가할 수도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슈켄트의 ‘카스트 이맘 광장’은 우즈베키스탄 특유의 옛적 이슬람풍 분위기가 십분 느껴지는 곳이었다. 사마르칸트의 .. 2021. 4. 3.
타슈켄트#03 나보이 국립 극장, 독립 광장, 브로드웨이, 아미르 티무르 박물관, 아미르 티무르 광장 [18년 2월 우즈베키스탄 여행] [2018년 2월 20일 화요일] 타슈켄트 시내를 여기저기 열심히 돌아다닌 하루이다. 오전에 숙소를 나섰는데, 숙소 바로 옆 건물이 타슈켄트 세종학당이었다! 첫 발 떼자마자 깜짝 놀랐넹ㅋㅋ 먼저 나보이 국립 극장으로 가는 길에 극장 남쪽의 네모반듯 소련틱한 공원을 지나갔는데, 이 공원 거리는 쭉- 야외에 책을 벌려 두고 파는 곳이었다. 지금 보니 사진을 찍어 두지 않은 게 참 의아하다. 느릿느릿 몽환적인 분위기가 진짜 좋았다. 그쪽에서 아코디언 연주하시던 할아버지도 정말 기억에 남는다. 01. 나보이 국립 극장 날씨가 흐려서 사진이 예쁘게는 안 나왔다. 외벽에 다 저렇게 화려하고 정교한 무늬들이 새겨져 있다. 출입문 앞에 매표소가 있다. ‘KACCA’는 여행 내내 봐서 이제 익숙한 단어가 되었다. ‘매표.. 2021. 4. 2.
반응형